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행정부가 들어선 후 예고됐던 상호관세가 실행 단계로 넘어왔다. 지난 4월 2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각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밝힌 것. 모든 나라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추가적으로 국가별 차등화된 개별 관세를 추가한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여기서 ‘상호관세’란 무엇일까? 쉽게 말하여, ‘다른 국가가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와 동일한 수준으로 미국이 해당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이다. 와인업계엔 타격이 없기를 바랬지만 캘리포니아에선 벌써 영향을 받는 중이라 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사진 위키피디아(By Daniel Torok – Official 2025 portrait))

캐나다의 불매 운동으로 돌아온 트럼프의 상호관세

세계에서 가장 긴 국경을 사이에 둔 미국과 캐나다는 국경을 맞댄 나라는 사이가 좋지 않다는 공식을 깨고 오랫동안 우호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 왔다. 트럼프가 재집권하기 전까지 말이다. 상호관세란 폭탄을 던지기 전부터 트럼프는 “캐나다는 미국의 51번째 주”라든가 “캐나다 총리는 미국의 51번째 주지사”라는 말을 거침없이 뱉어왔다. 캐나다인들이 반감이 생긴 것은 당연한 일(중국이 한국을 그레이트 차이나의 일부라고 주장한다면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들고 일어설 거다). 거기다 미국·캐나다·멕시코 3국 자유무역협정(USMCA)를 맺고 있음에도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라고 했으니, 반미 감정이 안 생길 수 없을 터.

이러한 배경에서 반트럼프·반미 감정을 지니게 된 캐나다인들은 지난 3월부터 미국산 제품을 불매하기 시작했다. 미국 와인 전체 수출의 35%를 차지하는 시장이 캐나다이므로, 캘리포니아의 와인 생산자들도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을 듯하다. 다행히 지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캐나다·멕시코 3국 자유무역협정(USMCA)을 준수하는 제품에 한하여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양보했다 한다. 하지만 이미 캐나다 내에 퍼진 반미 정서를 캘리포니아 와인이 쉽사리 극복해 낼 수 있을지 우려가 된다.

출처 캘리포니아와인협회

캘리포니아와인협회의 입장

이와 관련하여, 캘리포니아와인협회(Wine Institute)의 사장이자 대표인 Robert P. Koch는 지난 2일 성명을 발표했다. 그에 의하면 3월 초부터 와인, 맥주 및 증류주는 캐나다 시장에 진입하고 판매되는 것이 완전히 금지된 유일한 미국 제품이라 한다. 참고로 이 일이 벌어지기 전, 캐나다로 수출된 미국 와인의 소매 가치는 11억 달러 이상이었다고. 공식 발표된 성명서의 문구를 공유한다.

와인 분야는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며 전국의 가족과 농부들의 근면과 유산을 반영한다.

오늘 발표된 새로운 관세는 미국 와이너리들이 우리의 가장 중요한 수출 시장인 캐나다에 대한 접근을 다시 어렵게 만들 뿐이다. 지난 3월 초, 캐나다는 모든 미국산 와인을 진열대에서 내렸고 계속해서 판매를 막고 있다. 이 분쟁이 길어지면서 업계가 이미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는 시기에 경제적 불안정을 초래하고 있다.

이것은 단지 무역에 관한 것이 아니다. 사람, 생계 수단 및 여러 세대에 걸쳐 구축된 농업의 성공 스토리에 관한 것이다. 이 산업이 붕괴되면 그 영향이 와이너리를 넘어 전국의 농장 노동자, 유통업체, 소상공인, 식당 및 전체 지역 사회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관세 전쟁을 논하기엔 너무 아름다운 캘리포니아 와인

와인은 수출품이기도 하지만 공산품이 아닌 독특한 위치에 있는 농산물이므로 무역 분쟁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캘리포니아와인협회의 입장이다. 때문에 모든 무역 보복 리스트에서 와인이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 현실적으로는 와인 산업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의 생계가 걸린 일이기도 하고, 몇 세대에 걸쳐 눈부신 발전을 이뤄 낸 미국 와인의 문화적 자산이자 역사 그 자체이고, 전 세계인이 사랑하는 와인을 생산하는 곳이기에, 캘리포니아 와인업계가 이번 관세 전쟁의 혼돈을 굳건히 견뎌내길 바란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